장기요양
2025년도 장기요양 수가 및 제도개선 사항
중증 재가 수급자의 보장성 강화 및 장기요양 서비스 질 개선 추진
2024년 10월 29일
— 6 min read
보건복지부는 10월 29일 열린 제4차 장기요양위원회에서 2025년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을 2024년과 동일하게 소득 대비 0.9182%로 동결한다고 밝혔다. 이번 동결은 2017년 이후 처음으로, 국민의 보험료 부담 여력과 재정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이다.
장기요양보험 수가는 평균 3.93% 인상될 예정이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 인력배치 기준이 기존 입소자 2.3명당 1명에서 2.1명당 1명으로 강화됨에 따라, 추가 인력운용비를 반영해 해당 시설의 수가는 7.37% 인상된다. 기존 기준을 한시적으로 적용하는 시설에는 2.12%의 수가 인상률이 적용된다.
복지부는 장기요양 제도 개선도 함께 추진한다. 중증 재가 수급자에 대한 서비스 확대를 위해 이용 한도액을 인상하고, 가족의 돌봄 부담을 덜기 위해 ‘장기요양 가족휴가제’를 확대한다. 또한, 주·야간보호기관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특장차량 구비 지원금 지급과 요양시설 내 유니트케어 확대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은 “보험료율 동결에도 불구하고, 장기요양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재정 관리를 강화하겠다”라며 “어르신들이 안심하고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등급별 재가급여 이용 월 한도액
등급별 재가급여 이용 월 한도액 (단위: 원)
구분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인지지원등급
24년 한도액
2,069,900
1,869,600
1,455,800
1,341,800
1,151,600
643,700
25년 한도액
2,306,400
2,083,400
1,485,700
1,370,600
1,177,000
657,400
인상률(%)
11.43
11.44
2.05
2.15
2.21
2.13
2025년 급여유형별 장기요양수가
2025년 급여유형별 장기요양수가 인상률
급여유형
평균
요양시설
공동생활가정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인상률 (%)
3.93
7.37
2.07
2.12
2.08
1.89
2.14
2.34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시설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등급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1
84,240
16,848
90,450
18,090
2
78,150
15,630
83,910
16,782
3,4,5
73,800
14,760
79,240
15,848
공동생활가정
공동생활가정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등급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1
71,010
14,202
72,480
14,496
2
65,890
13,178
67,250
13,450
3,4,5
60,740
12,148
62,000
12,400
주야간보호
주야간보호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시간 구간
등급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3시간 이상 ∼ 6시간 미만
1
39,810
5,972
40,650
6,098
2
36,850
5,528
37,630
5,645
3
34,020
5,103
34,740
5,211
4
32,470
4,871
33,160
4,974
5
30,920
4,638
31,580
4,737
인지지원
30,920
4,638
31,580
4,737
6시간 이상 ∼ 8시간 미만
1
53,360
8,004
54,490
8,174
2
49,420
7,413
50,470
7,571
3
45,620
6,843
46,590
6,989
4
44,070
6,611
45,000
6,750
5
42,500
6,375
43,400
6,510
인지지원
42,500
6,375
43,400
6,510
8시간 이상 ∼ 10시간 미만
1
66,360
9,954
67,770
10,166
2
61,480
9,222
62,780
9,417
3
56,760
8,514
57,960
8,694
4
55,210
8,282
56,380
8,457
5
53,640
8,046
54,780
8,217
인지지원
53,640
8,046
54,780
8,217
10시간 이상 ∼ 13시간 이하
1
73,110
10,967
74,660
11,199
2
67,720
10,158
69,160
10,374
3
62,570
9,386
63,900
9,585
4
61,000
9,150
62,290
9,344
5
59,450
8,918
60,710
9,107
인지지원
53,640
8,046
54,780
8,217
13시간 초과
1
78,400
11,760
80,060
12,009
2
72,630
10,895
74,170
11,126
3
67,100
10,065
68,520
10,278
4
65,540
9,831
66,930
10,040
5
63,990
9,599
65,350
9,803
인지지원
53,640
8,046
54,780
8,217
단기보호
단기보호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등급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1
70,500
10,575
71,970
10,796
2
65,280
9,792
66,640
9,996
3
60,310
9,047
61,560
9,234
4
58,720
8,808
59,940
8,991
5
57,110
8,567
58,300
8,745
방문요양
방문요양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방문당 시간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30분
16,630
2,495
16,940
2,541
60분
24,120
3,618
24,580
3,687
90분
32,510
4,877
33,120
4,968
120분
41,380
6,207
42,160
6,324
150분
48,250
7,238
49,160
7,374
180분
54,320
8,148
55,350
8,303
210분
60,530
9,080
61,670
9,251
240분
66,770
10,016
68,030
10,205
방문목욕
방문목욕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구분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차량이용(차량 내)
84,670
12,701
86,480
12,972
차량이용(가정 내)
76,340
11,451
77,970
11,696
차량 미 이용
47,670
7,151
48,690
7,304
방문간호
방문간호 수가 및 본인부담 (단위: 원)
방문당 시간
2024년 수가
2024년 본인부담
2025년 수가
2025년 본인부담
15분~30분 미만
40,760
6,114
41,710
6,257
30분~60분 미만
51,110
7,667
52,310
7,847
60분 이상
61,490
9,224
62,930
9,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