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보다 상생으로, 일자리에서도 청년-중장년의 시너지 가능

한국고용정보원,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보고서 발간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직무대행 신종각)이 변화된 고용환경에서 중장년과 청년 세대의 차이가 협력과 상승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세대 상생을 통한 청년 일자리 연구: 한일 사례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연구보고서는 중장년과 청년 세대의 경험과 관심이 만나 청년의 경력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를 주목하며, 새로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직무의 다양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정책 사례를 참고하여 한국 사회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진은 고용 및 기업지원 서비스 전문가와 세대 상생 일자리 사례 참여자 등 20명을 대상으로 그룹 인터뷰를 통해 세대 상생 활성화 방안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청년이 중장년 세대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박탈감이 세대 협업의 큰 진입장벽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기업들이 세대 간 소통 문제를 주요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과 중장년이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세대 상생 일자리 활성화를 위해 전문가 집단은 기존의 연공 서열 중심이 아닌 직무 중심의 인사체계가 자리 잡을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참여자들은 세대 간 소통을 세분화하여(청년을 20대와 30대로, 중장년을 40대, 50대, 60대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소통하는 세대 집단을 확대하는 ‘계단식 소통 확대’ 방안에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보고서의 저자는 “청년과 중장년은 대체 관계가 아닌 보완 관계이며, 두 세대 모두 일자리에서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라며, “서로의 강점을 활용하고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기회를 늘려 청년과 중장년이 세대를 넘어 다양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시너지를 얻도록 열린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청년과 중장년이 협력하여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경제적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고용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