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마을’ 우수선도사업 48개 선정

치매가 친숙한 지역사회 조성을 위한 2024년 ‘치매안심마을’ 우수선도사업 48개 선정. 우수 선도사업 선정으로 치매 친화적 환경 강화 기대.

‘치매안심마을’ 우수선도사업 48개 선정
Photo by joyce huis / Unsplash

보건복지부는 7월 23일 '치매안심마을 우수 선도사업'에 48개 치매안심센터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사회 기반 치매 서비스를 강화하고 치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된다. 선정된 48개 치매안심센터는 총 9억 5천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에 앞장설 예정이다.

'치매안심마을'은 치매환자와 가족이 지역사회에서 존중받으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물리적 환경과 보건복지 서비스 역량을 강화한 마을이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256개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이러한 치매안심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이번 우수 선도사업은 지역 특성에 기반한 다양한 유형의 치매안심마을을 발굴하여 확산하고자 진행되었다. 심사는 ▲실종예방 안전망 ▲치매환자 사회참여 ▲안전환경 조성 ▲조기발굴 체계 구축 등 4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선정 사례로는 경북 경주시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기억이 머무는 다양한 방법(꼬꼬무 기억다방)', 전북 남원시의 '치매환자여도 괜찮아요, 치매안심시장', 서울 강서구의 '다시 살핌 안전망 구축' 등이 있다. 이들 사례는 치매환자와 가족이 지역사회에서 활발히 참여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안전망을 구축했다.

보건복지부 임을기 노인정책관은 “이번 선도사업을 통해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강화하고자 한다”라며 “치매에 더욱 친숙하고 공존할 수 있는 지역사회 분위기를 조성할 것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치매안심마을 우수 선도사업의 사례집은 사업 종료 후 발간되어 배포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치매안심마을 모델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치매환자와 가족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안전하고 존중받는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