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개요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발표. 정신질환 조기 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필요.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 개요

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는 전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 및 정신건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등을 목적으로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정신건강 관련 총 4개 분야에 대해 전국 15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간 진행되었다. 조사 분야는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정신건강 상태, ▲정신질환 사례별(Case Vignette) 인식,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이다.

주요 조사 결과

정신건강에 대한 인식

  • 정신질환 이해도는 4.05점으로 2022년 대비 0.1점 상승했다.
  • 부정적 인식(3.15점 → 3.12점)과 수용도(3.18점 → 3.22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인식이 개선된 항목:
    • '누구나 정신질환에 걸릴 수 있다' (83.2% → 90.5%)
    • '정신질환은 일종의 뇌기능 이상일 것이다' (49.3% → 61.4%)
  • 인식이 악화된 항목:
    • '내가 정신질환에 걸리면 몇몇 친구들은 나에게 등을 돌릴 것이다' (39.4% → 50.7%)
    • '정신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위험한 편이다' (64.0% → 64.6%)
    •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알고 있다' (27.9% → 24.9%)

정신건강 상태

  • 응답자의 55.2%가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좋다'라고 평가했다.
  • 78.8%가 '평소 건강한 정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응답했다.
  • 지난 1년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은 73.6%로 2022년의 63.9%에 비해 9.7%p 증가했다.
  • 특히, 심각한 스트레스(36.0% → 46.3%), 수일간 지속되는 우울감(30.0% → 40.2%), 기타 중독(인터넷, 스마트폰 등)(6.4% → 18.4%) 등이 크게 증가했다.
  • 정신건강 문제 경험 시 도움을 요청했던 대상:
    • '가족 및 친지' (49.4%)
    • '정신과 의사 또는 간호사' (44.2%)
    • '친구 또는 이웃' (41.0%)

정신질환 사례별 인식

  • 제시된 정신질환 사례를 정확하게 인식한 비율:
    • 주요 우울 장애 (43.0%)
    • 조현병 (39.9%)
  • 부정적 인식 비율:
    • '정신질환자는 위험하다' (64.6%)
    • '사례와 같은 정신질환 문제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게 위험하다' 응답 비율:
      • 주요 우울 장애 (11.9%)
      • 자살사고 (12.4%)
      • 조현병 (31.9%)

정신건강 관련 기관 인지도

  • '국립정신건강센터' 인지도는 66.8%로 2022년의 65.6% 대비 1.2%p 증가했다.
  • 그 외 기관 및 상담 전화 인지도는 감소했다:
    • 정신건강복지센터 (60.6% → 58.1%)
    • 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 (33.1% → 23.3%)

곽영숙 센터장은 “본 조사를 통해 2022년 대비 정신건강 문제 경험률이 높아진 것과 달리,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 방법을 아는 비율은 오히려 감소했다”며 “정신건강 문제는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며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4년 국민 정신건강 지식 및 태도 조사의 상세 보고서와 과거 조사에 대한 결과보고서는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 누리집(ncm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